스코폴라민(Scopolamine)은 멀미 예방약입니다. 귀 안쪽의 평형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경의 흥분을 차단하고 구토반사중추를 억제하여 멀미를 예방합니다. 약리학적으로는 부교감신경계의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전정기관과 소화관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신경 흥분을 억제하며, 구토 및 구역 반응을 감소시킵니다.

구조적으로 스코폴라민은 tropane 계열의 알칼로이드로, 8개의 탄소 고리 구조와 에테르 및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고 있어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특성을 지닙니다. 스코폴라민 복용 후에는 잔여물이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하며, 졸음과 시야 혼탁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기계 조작을 피해야 합니다.
| 외국어 표기 | Scopolamine (영어) |
| CAS 등록번호 | 51-34-3 |
| ATC 코드 | A04AD01 |
| 분자식 | C₁₇H₂₁NO₄ |
| 분자량 | 303.36 g/mol |
목차
1. 약리작용
스코폴라민은 항콜린성 약물로, 주로 멀미(운동병) 예방에 사용됩니다. 멀미는 전정기관, 시각, 체성감각으로부터 전달되는 자극이 상호 불일치할 때 발생하며, 이 과정에서 중추신경계의 구토중추가 과도하게 자극됩니다.
스코폴라민은 아세틸콜린이 작용하는 무스카린성 수용체(M₁ 수용체 등)를 차단하여 부교감신경계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합니다. 또한 전정기관에서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 신경 자극을 차단함으로써 구역, 구토, 어지럼 등의 증상을 완화합니다. 결과적으로 구토반사중추(vomiting center)의 활동을 억제하여 멀미 발생을 예방하는 작용을 합니다.
2. 스코폴라민, 스코폴라민브롬화수소산염, 부틸스코폴라민브롬화물의 차이
스코폴라민은 가지과 식물(벨라돈나, 사리풀 등)에서 추출한 트로판 알칼로이드계 화합물로, 항무스카린 작용을 나타냅니다. 이 계열의 약물들은 구조적 유사성을 가지지만, 화학적 결합 형태 및 제형의 차이에 따라 약리 특성과 적용 부위가 달라집니다.
1) 스코폴라민 (Scopolamine)
활성 기본 형태의 성분으로, 주로 패취제(transdermal patch) 형태로 사용됩니다.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멀미 예방 효과가 72시간 이상 지속됩니다. 대표적인 제제는 트랜스덤 스코폴라민(Transderm Scop®)입니다.
2) 스코폴라민브롬화수소산염 (Scopolamine Hydrobromide)
스코폴라민의 브롬화수소산염(salt) 형태로, 수용성이 높아 경구제나 주사제로 사용됩니다. 주로 항히스타민제, 카페인 등과 복합 제제로 조제되어 구토 및 멀미 예방에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제제는 보미롱®이 있습니다.
3) 부틸스코폴라민브롬화물 (Scopolamine Butylbromide)
스코폴라민에 부틸기가 추가된 합성 유도체로, 중추신경계를 거의 통과하지 않고 말초신경계에 주로 작용합니다. 위장관, 담도, 요로, 자궁 등의 평활근 경련을 억제하는 진경제(antispasmodic)로 사용되며, 대표적인 제제는 부스코판®이 있습니다.
*염(salt)의 개념: 염은 산(acid)과 염기(base)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합물로, 약물 제형에서는 약효 성분의 용해도, 흡수율, 안정성 등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동일한 활성 성분이라도 염의 형태에 따라 약효 발현 속도와 지속시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리
| 스코폴라민 | 멀미 예방용, 중추신경계 작용, 패취제 형태 |
| 스코폴라민브롬화수소산염 | 경구 또는 주사제, 복합제 형태, 구토 억제 중심 |
| 부틸스코폴라민브롬화물 | 말초 작용, 위장관 진경제로 사용 |
3. 효능·효과
스코폴라민은 멀미(운동병)에 의해 발생하는 구역 및 구토를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전정기관에서 발생하는 자극이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멀미 증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키미테® (Kymite®) 패취제가 있으며, 장시간 이동 시 멀미로 인한 불편함을 예방하는 목적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4. 용법
스코폴라민은 주로 피부에 부착하는 패취제(Transdermal patch) 형태로 사용됩니다. 체내에 일정한 양의 유효성분이 지속적으로 흡수되어 오랜 시간 동안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1) 제형 및 함량
• 성인용 제품은 의사의 처방전이 없어도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한 일반의약품입니다.으로, 1매당 스코폴라민 1.5mg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어린이용 제품은 8세 이상 15세 이하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며,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 약국에서 구입이 가능한 전문의약품입니다.으로 분류되어 의사의 처방이 필요합니다. 어린이용 패취 1매에는 스코폴라민 0.75mg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2) 사용 방법
• 이동 최소 4시간 전, 귀 뒤쪽의 털이 없는 깨끗하고 건조한 피부에 패취를 부착합니다.
• 1장의 패취는 약 3일(72시간) 동안 효과가 지속되며, 그 이후에는 반대편 귀 뒤쪽에 새 패취를 붙입니다.
• 부착 부위를 만진 손이나 패취가 닿았던 부위는 사용 후 비누와 물로 깨끗이 세척하여 눈이나 점막으로의 약물 이행을 방지해야 합니다.
3) 주의사항
• 패취는 손상된 피부나 상처 부위에 부착하지 않습니다.
• 재사용하거나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부착 후 손으로 만진 상태에서 눈을 비비면 동공확대나 시야흐림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멀미 예방 목적으로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 장시간 이동 시 사용하며, 필요 시 의료 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반복 부착할 수 있습니다.
5. 금기
1) 스코폴라민 패취제는 녹내장, 서맥, 전립선비대증 등 배뇨장애 환자는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임산부, 수유부, 7세 이하의 영·유아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6. 부작용
이 약을 복용한 모든 환자에게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환자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이상반응이 나타나는 경우 이 약의 복용을 즉시 중단하고 의사와 상의합니다.
스코폴라민을 사용할 경우 구갈, 시야 흐림, 동공 확대, 안구 건조감 또는 가려움, 결막 충혈, 졸음, 빈맥, 배뇨장애, 기억력 저하, 어지러움, 불안, 환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3일 이상 연속 복용한 경우 약물 중단 시 금단증상으로 어지러움, 구역, 구토, 두통, 평형감각 장애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7. 상호작용
이 약과 함께 다른 약물을 복용할 경우 상호작용으로 인해 약효(상호 흡수)에 영향을 미치거나 이상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함께 복용하는 약이 있거나 다른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미리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다음의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는 의사와 상의합니다.
스코폴라민은 다른 약물과 함께 복용 시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1) 스코폴라민의 부작용을 증가시키는 약물
항콜린성 약물*(시메트로퓸, 글리코피롤레이트 등), 항히스타민제(독시라민, 히드록시진 등), 삼환계 항우울제*(노르트립틸린, 이미프라민 등), 일부 근육이완제(클로르페네신 등), 알코올 등은 스코폴라민의 부작용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2) 스코폴라민에 의해 부작용이 증가되는 약물
마약성 진통제(히드로코돈, 옥시코돈 등), 일부 위산분비 억제제(라니티딘, 파모티딘 등), 항경련제(루피나미드, 토피라메이트 등) 등의 부작용이 스코폴라민에 의해 증가될 수 있습니다.
3) 스코폴라민에 의해 효과가 감소되는 약물
일부 위장관운동 촉진제(이토프리드, 레보설피리드 등), 협심증 치료제(니트로글리세린) 등은 스코폴라민 함께 복용 시 약효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항콜린성 약물(anticholinergic drug): 부교감신경 말단에서 분비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혈압 상승, 소화관 연동운동 저하, 침 및 소화액 분비 감소, 호흡기 근육 이완, 분비물 억제 등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삼환계 항우울제(tricyclic antidepressants, TCAs): 세 개의 고리 구조를 가진 항우울제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과 세로토닌(serotonin)의 재흡수를 차단하여 그 작용을 강화함으로써 항우울 효과를 나타냅니다.
8. 주의사항
1) 스코폴라민 복용 시 졸음, 방향감각 상실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운전이나 기계 조작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2) 과량 복용 시 방향감각 상실, 기억력 손상, 어지러움, 불안, 환각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즉시 패취를 제거하고 의약 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3) 발작이나 정신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는 착란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4) 일반적인 용량 사용 시에도 특이 체질에 따른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착란, 불안, 환각, 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패취를 제거하고 의료 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5) 동공 확장으로 눈의 통증 및 충혈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패취를 제거하고 의료 의사 또는 약사 등 전문가와 상의합니다.
6) 대사성 질환, 간질환, 신장질환 환자는 부교감신경차단* 작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7) 유문협착*, 장폐색* 또는 방광폐색 환자는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8) 스코폴라민이 눈에 닿을 경우 일시적으로 시야가 흐려지거나 동공이 확대되는 시각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패취를 만진 후에는 반드시 비누로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9) 스코폴라민 패취제 내부에 알루미늄이나 금속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제거하지 않고 MRI 검사를 받으면 부착 부위에 화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RI 검사 전에는 반드시 패취를 제거해야 합니다.
10) 스코폴라민 패취 사용 후 폐기 시 접착면을 반으로 접어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버려야 합니다.
*부교감신경차단: 자율신경계의 부교감신경은 아세틸콜린(acetylcholine)에 의해 활성화되며, 소화관 운동 촉진, 소화액 분비, 호흡기 근육 수축, 혈압 감소, 동공 수축 등을 조절합니다. 부교감신경이 차단되면 반대 작용이 나타납니다.
*유문협착(pyloric stenosis): 위와 십이지장 사이 경계부인 유문이 좁아져 음식물 통과가 어려운 상태를 의미합니다.
*장폐색증(intestinal obstruction): 소화관 일부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과 소화액이 축적되어 기능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9. 임산부·수유부 사용
1) 스코폴라민은 임산부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2) 스코폴라민이 모유로 분비될 수 있으므로 수유부가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10. 소아·청소년 사용
스코폴라민은 7세 미만 어린이에게 복용하지 않습니다. 소아에게 복용할 경우 반드시 성인이 부착해야 합니다.
11. 고령자 사용
고령자가 사용할 경우 부교감신경 차단 작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본문에서 언급되지 않은 그 외 상세한 정보는 제품설명서 또는 제품별 허가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